아파트에 적용되는 시스템들 : 원격 검침 시스템

반응형
728x90
반응형

원격 검침 시스템이란 말 그대로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특정 집에 대한 전기, 가스, 수도 등의 사용량을 검침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예전에는 검침하는 사람(검침원)이 일일이 고객의 집을 방문하여 사용량을 기록하였는데 IT 통신 기술의 발달로 더 이상 그런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었다. 시간과 인력운용 면에서도 매우 효율적이고 집에 사람이 없어도 관계없다. 또한 검침원을 가장한 범죄 발생도 줄일 수 있어서 사회적인 강력 범죄에 대한 문제 해결에 큰 역할을 하였다. 원격 계측을 하기 위해서는 원격 검침 서버, 통신 회선 및 단말 장치가 필요하다. 원격 검침 시스템은 검침 시간 단축, 검침원 불필요, 집 주인의 자유로운 외출, 검침원 가장 범죄 예방 등의 장점이 있다고 이야기했다. 하지만 이 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은 입주민이 현재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 사용량을 월패드나 스마트폰을 통해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에너지 사용량은 입주민이 매달 내는 관리비와 직결되기 때문에 입주민은 자신이 너무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이 되면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등 적절한 관리를 할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서버와 스마트 홈 시스템의 서버 간에 통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원격 검침 시스템의 서버에 기록되어 있는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 값을 스마트 홈 시스템의 서버로 전송하면 스마트 홈 시스템 서버는 각 집에 대한 데이터를 분류하여 해당 집의 월패드나 스마트폰으로 보내준다. 입주민은 이를 통해 우리 집의 에너지 실시간(realtime) 사용량을 파악할 수 있고 하루 사용량, 주간 사용량, 한 달 사용량 등 기간을 검색하여 알 수도 있다. 단 실시간 사용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실시간 계량 모듈(module)이 필요하다. 집의 크기가 동일한 다른 집과 우리 집 사용량을 비교할 수도 있다. 이것을 바탕으로 입주민은 에너지 절약을 실천할 수 있어 에너지 관리에 대한 어느 정도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준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원격 검침 시스템을 공급하는 회사와 스마트 홈 시스템을 공급하는 회사가 다르기 때문에 두 회사의 시스템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개발 과정을 거쳐야 한다. 흔히 이야기하는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을 맞추는 작업이 먼저 이루어져야 이러한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홈 시스템은 이러한 원격 검침 시스템의 기능을 활용하여 홈 Io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단순히 사용량만 보여주는 것을 넘어서고 있다. 입주민이 직접 사용 한계값(Limit)을 설정하면 설정 수치에 도달할 즈음에 입주민에게 알려주거나 스스로 차단한다.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시켜 사용자의 패턴을 분석하고 그것을 데이터화해서 사람의 특별한 액션이 없어도 스스로 동작하거나 입주민에게 의견을 묻는다. 초기 단계이기는 하지만 최근 통신사업자들이 광고하고 있는 스마트 홈서비스에서도 이러한 형태의 서비스들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이것은 원격 검침 시스템이라기보다는 스마트 홈 시스템의 역할이기는 하지만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에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이야기하였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환경과 에너지 문제에 대해 작은 출발이지만 미래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