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에도 지능형 초연결망 선도 사업을 추진한다.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시티의 핵심 인프라인 지능형 초연결 네트워크 신기술을 선도적으로 테스트하고, 공공과 민간 분야에 먼저 적용하여 확산 및 활성화를 촉진하는 이번 사업이 한국 ICT 산업 생태계에 어떠한 변화를 불러올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지능형 초연결망은 5세대 이동통신, 사물인터넷망, 와이파이, vCPE 등의 네트워크 신기술이 SDN/NFV 기반의 지능형 기술을 기반으로 제어되고 관리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여기서 vCPE(Virtualized Customer Premises Equipment)는 고객 댁내의 가상화 장비를 뜻하며 SDN(Software Defined Network)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로, NFV(Network Funtion Virtualization)는 네트워크 가상화로 각각 풀이된다.
정부는 우리나라의 경우 지능형 초연결망 기술에 대한 신뢰 부족으로 인해 기존 글로벌 벤더의 솔루션과 장비 중심의 네트워크 시장 생태계가 고착된 상태라고 하였다. 또한 지난 해 12월 네트워크 관련 기업 및 정부와 공공 기관 관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은 기능, 성능, 안정성 확보, 민간 및 공공 레퍼런스 확보 등을 주요 과제로 지적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능형 초연결망 플랫폼 및 지능형 트래픽 제어 기술 등의 실증이 가능한 선도 테스트 기반 구축으로 다양한 솔루션과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공공과 민간 부문 네트워크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지능형 초연결망 신기술의 공공 및 민간 선도 적용으로 점증적 활성화와 확대를 추진한다.
정부가 올해 지능형 초연결망 모델로 예를 든 것은 크게 정보통신망 지능화 분야와 초연결 신기술 확산 분야이다. 정보통신망 지능화 분야는 중앙 관리형 업무 통신망 모델, 맞춤형 자율 네트워크 모델로 나뉜다. 중앙 관리형 업무 통신망 모델은 소프트웨어 기반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여 본사와 소속 기관, 소속 기관과 지사 등과 SDN을 연결하고 수집 된 데이터를 중앙에서 제공하거나 인공지능 등의 분석을 통하여 관리하는 모델이다.
정부는 IDC를 운영하거나 자체 전산실을 운영하는 기관에 이 모델을 적용하여 운영 관리 및 비용 상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맟춤형 자율 네트워크 모델은 사무실, 학교 등의 LAN 환경에 소프트웨어 기반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하여 수행 업무에 최적화된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구성하고 스스로 관리하는 것으로 확장성 및 관리 편의성을 강화하는 모델이다. 이 모델을 적용하게 되면 보안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특정 사무실의 네트워크를 분리한 다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비전문가도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손쉽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연결 신기술 확산 분야는 엣지 네트워크 서비스 모델, 5G 기반 스마트 스페이스 모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Eco 모델 등이다. 엣지 네트워크 서비스 모델은 지역적으로 널리 분포된 네트워크에서 지능화 기능이 포함된 엣지 컴퓨팅과 SDN 기술을 조합하여 저지연, 고가용성 서비스를 구현하는 모델이다. 네트워크 채널을 가상화 하여 종단의 하드웨어를 최소화하고 소프트웨어를 통해 네트워크 기능을 처리함으로써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5G 기반 스마트 스페이스 모델은 5G와 SDN을 접목하여 넓은 대역폭과 안정적인 네트워크가 필요한 빌딩, 학교 등 특정 공간에 통합 무선 네트워크, 시설 관리, 교통 등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델이다. 이 모델은 대학교 캠퍼스, 관광지, 산업단지 등의 특수한 공간에 5G 기반 지능형 통신 아키텍처를 구축하는데 효과적이다.
IoT 기반 스마트 Eco 모델은 IoT를 SDN/NFV 인프라와 연동하여 공장, 빌딩, 농업 등의 분야에서 물, 전력, 온도, 공기질 등을 감지해 사물인터넷으로 환경 제어가 필요한 서비스에 적용하는 모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이 모델을 활용하면 디지털 계량기 검침, 화재 상황 정보 활용 스마트 소방 방재, 거주자 우선 주차 관리 서비스 등이 가능해진다. 정부는 지능형 초연결망 선도 사업을 위해 확산 분야 수요에 따른 새로운 융합 모델 제안도 허용한다는 방침이다.
'IT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기술 및 응용 산업 분야의 확대 (0) | 2019.10.12 |
---|---|
인공지능과 생체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첨단 공항 구축 (0) | 2019.10.07 |
실버 세대를 위한 스마트 기기 및 시장 동향 (0) | 2019.10.04 |
ICT 융합 기반의 신공종에 대한 설계 기준 마련의 필요성 (0) | 2019.09.24 |
지능형 SOC 구현을 위한 기존 인프라 노후화 이슈 해결 방안 (0) | 2019.09.21 |
자율주행 기술 개발 동향 5G와 자율주행차 그리고 인공지능(AI) (0) | 2019.09.20 |
차세대 C-ITS 구축을 통한 교통 인프라 고도화 (1) | 2019.09.18 |
5G 발전 및 활성화를 위한 산업 간의 협력과 투자 방향 검토 (0) | 2019.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