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G 기지국 현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21일 기준 전국 5G 기지국 수는 62,641국이라고 합니다. 두 달 전 5,0512국에서 약 12,000국이 늘어난 수치인데요. 이동통신 3사가 5G 네트워크 고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동통신 3사는 5G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경쟁을 비롯하여 인빌딩 수신 환경 개선을 위한 인빌딩 서비스 강화에 총력전이 예상됩니다.
전국 5G 기지국 현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신고 기준으로 보면, 이동통신 3사 중 KT가 가장 많고(23,193국), 그 다음이 LG유플러스(22,270국), SK텔레콤(17,178국) 순입니다.
기존 4G 사용자들이 5G 속도에 대해 그렇게 빠르다는 체감을 하지 못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실내, 즉 인빌딩 5G이 아직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이동통신사들은 인빌딩 서비스를 위하여 본격적인 장비 구축 작업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5G 서비스의 사용량이 많은 실내 수신 환경 개선을 위해 이통통신사들은 인빌딩 광중계기 개발 및 검증을 완료했다고 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우선 공공 장소인 주요 지하철 역사, 공항, 대형마트, 영화관, 스포츠 경기장 등 인구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인빌딩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5G 중계기 등 인프라는 이동통신 3사가 공동 구축 형태로 진행되는데요. 이는 초기 5G 서비스 품질 논란에 따른 민관 합동 TF 회의에서 정부, 통신사, 제조사가 인빌딩 장비 구축에 함께 뜻을 모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완전한 5G 커버리지를 이루려면 거의 2020년 정도는 되어야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정부와 통신사 및 관련 업계 모두 힘을 모아 보다 나은 품질과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는 시대가 빨리 왔으면 좋겠습니다.
|
전국 5G 기지국 구축 현황(19.06.21 기준) |
구분 |
KT |
LG유플러스 |
SKT |
합계 |
서울 |
8,266 |
6,099 |
5,093 |
19,458 |
인천 |
1,265 |
1,528 |
793 |
3,586 |
부산 |
1,500 |
1,923 |
1,321 |
4,744 |
대구 |
1,285 |
1,270 |
1,164 |
3,719 |
광주 |
898 |
978 |
732 |
2,608 |
대전 |
948 |
1,264 |
767 |
2,979 |
울산 |
529 |
636 |
349 |
1,514 |
세종 |
89 |
193 |
191 |
1,255 |
경기 |
5,156 |
4,865 |
3,655 |
13,676 |
강원 |
494 |
564 |
197 |
1,255 |
충북 |
265 |
432 |
410 |
1,107 |
충남 |
444 |
526 |
408 |
1,378 |
경북 |
556 |
589 |
557 |
1,702 |
경남 |
583 |
649 |
618 |
1,850 |
전북 |
371 |
362 |
369 |
1,102 |
전남 |
351 |
206 |
311 |
868 |
제주 |
193 |
186 |
243 |
622 |
계 |
23,193 |
22,270 |
17,178 |
62,641 |
'IT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T 융합 기반 신규 공종 발굴과 신기술 개발 스마트시티 및 국방 등에 접목 (0) | 2019.08.25 |
---|---|
5G 기반 10대 핵심 산업 총정리 (0) | 2019.08.19 |
5G 기반 10대 산업과 5대 서비스 (2) (0) | 2019.08.18 |
5G 기반 10대 산업과 5대 서비스 (1) (0) | 2019.08.16 |
LGU+ 5G AIoT 성장 구현 2019년 사업방향 (0) | 2019.03.10 |
SKT 5G 상용화 2019년 사업방향 (0) | 2019.03.10 |
kt 5G 기지국 구축 5G플랫폼 통신사별 사업방향 (0) | 2019.03.10 |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 모바일 트렌드 변화 2019 년 ICT 10대 이슈 (0) | 2019.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