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획평가원에서 선정·발표한 2019 년 ICT 관련 10대 이슈 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지난 번에는 5G 및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 엣지컴퓨팅 AI 지능형 반도체 , 차세대 모빌리티 , 블록체인 등을 알아보았는데요, 지난 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IT 정보통신] - 2019 년 ICT 10대 이슈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
[IT 정보통신] - 엣지컴퓨팅 에지컴퓨팅 지능형 AI 반도체 자율주행차 2019 ICT 10대 이슈
[IT 정보통신] - 블록체인 남북 ICT 자동화 지능화 기술 2019 년 ICT 10대 이슈
오늘은 5G 및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 엣지컴퓨팅 AI 지능형 반도체 , 블록체인 , 차세대 모빌리티 등에 이어서 친환경 ICT,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 확산 , 부상하는 중국 ICT 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친환경 ICT
먼저 친환경 ICT 의 개념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친환경 ICT 란 에너지 소비와 기후변화 등을 포함하여 우리가 직면한 전반적인 환경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동시에 지속적인 부가가치 창출 및 경쟁우위를 획득하고자 하는 산업의 IT 친환경 경영활동을 의미합니다.
이와 관련해서 건물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대응방안으로 스마트 빌딩 이나 제로에너지 빌딩 에 대한 관심이 점차적으로 커지고 있습니다.
스마트 빌딩 과 제로에너지 빌딩은 어찌보면 비슷하지만 약간의 개념적 차이가 있습니다. 스마트 빌딩 은 ICT를 활용하여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반면 제로에너지 빌딩 은 신재생 에너지 를 활용하여 건물의 기능에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공급하거나 단열성능을 극대화함으로써 에너지의 낭비와 유출을 최소화하는 부분에 중점을 두고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 들어서 IoT 기술 과 IoT 디바이스 ,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 , 가상화 소프트웨어 , 가상화 기술 , 다양한 플랫폼 디자인 등 ICT 의 발전에 힘 입어 저렴한 비용과 예산으로 스마트 빌딩 과 제로에너지 빌딩 을 구축하고 에너지 효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재 미세먼지가 커다란 사회적 이슈 중 하나인데요, 대기오염 이나 미세먼지 , 초미세먼지 등의 저감을 위해 ICT가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국내 통신사업자인 KT의 경우 서울 및 광역시에서 미세먼지를 동 단위, 1분 단위로 측정이 가능한 측정장치 1,500개를 구축하여 미세먼지 정보를 에어맵코리아 앱 을 개발하여 공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ICT의 발전과 사회적 이슈에 도입·적용을 통해 하루 빨리 미세먼지 와 같은 건강과 환경오염의 위협에서 벗어나 쾌적한 생활환경을 누릴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합니다.
■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 혁신
기술의 발전 속도가 점점 더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눈을 뜨면 또 다른 신기술들이 쏟아져 나오는 세상에 살고 있는 요즘, 이러한 기술의 혁신으로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 의 개발 및 출시에 대한 기대감도 함께 높아지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은 요즘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공급하는 기업은 지속적으로 신규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양 조금 높이고 부가기능 몇가지 추가하여 모델명 변경 후 가격 올려 출시하는 일을 반복하게 되면 사용자, 즉 수요자 입장에서는 가격에 걸맞는 변화와 혁신이 부족하다는 인식이 커져갈 것입니다.
이것은 자칫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성장이 정체될 수 있는 요인일 수 있는데요, 이것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혁신적인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 개발 및 공급에 주목을 하고 있습니다.
CES 나 MWC 에서 볼 수 있듯이 2019년 올해는 폴더블 스마트폰을 시작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용화 의 원년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트렌드 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폴더블 이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용화 되면 소비자들은 휴대성 및 대화면의 가치를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동시에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이로 인해 제조사가 구현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 디자인 의 자유도가 크게 증가하여 보다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이 출시되고 사용자들에게 모바일 트렌드 에 따라 선택의 폭을 넓혀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부상하는 중국 ICT
얼마전까지만 해도 중국의 '추격'이라는 말을 많이 했지만, 지금은 사실 '경쟁'이라고 해야 맞는 것 같습니다. ICT 분야에 있어서 중국의 행보가 무섭습니다. 중국은 스마트폰이나 LCD 디스플레이 를 넘어서 메모리 반도체 와 OLED 디스플레이 를 겨냥하고 있으며 그 공세도 더욱 강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모바일 부문에 있어서도 글로벌 트렌드에 맞게 모바일 트렌드 를 잘 따라가고 있는 모습이며 우리나라 제품에 뒤지지 않고 오히려 앞서있다고 홍보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크게 눈에 띄지는 않으나 향후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 부문이나 가상화 소프트웨어 , 가상화 기술 , IoT 클라우드 , 플랫폼 디자인 부문에도 점차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느낌입니다.
올해부터는 중국의 메모리 반도체 와 디스플레이 양산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나라와 치열한 경쟁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사실 중국은 계속해서 반도체 관련 무역적자를 보고 있는 상황이어서 반도체 국산화가 절실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를 적극 벤치마킹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혹시나 우리나라가 중국에 시장을 빼았기지 않도록 차별화된 기술로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더 확고히 해야할 때인 것 같습니다.
'IT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5G 기반 10대 산업과 5대 서비스 (1) (0) | 2019.08.16 |
---|---|
5G 기지국 구축 현황 및 인빌딩 서비스 네트워크 고속화 속도 (0) | 2019.08.08 |
LGU+ 5G AIoT 성장 구현 2019년 사업방향 (0) | 2019.03.10 |
SKT 5G 상용화 2019년 사업방향 (0) | 2019.03.10 |
kt 5G 기지국 구축 5G플랫폼 통신사별 사업방향 (0) | 2019.03.10 |
블록체인 남북 ICT 자동화 지능화 기술 2019 년 ICT 10대 이슈 (0) | 2019.03.08 |
엣지컴퓨팅 에지컴퓨팅 지능형 AI 반도체 자율주행차 2019 ICT 10대 이슈 (0) | 2019.03.07 |
2019 년 ICT 10대 이슈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 (0) | 2019.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