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빅데이터 적용을 통한 국가 핵심시스템 고도화

반응형
728x90
반응형

정부가 인공지능(AI)·빅데잍터·클라우드 등 혁신기술을 적용한 국가 핵심시스템 재구축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정부부처와 입법부·사법부를 포함한 55개 중앙행정기관은 올해 정보화 부문에 5조1687억원을 지출할 계획이다. 이 중 1조 2891억이 지능정보기술 활용사업에 투입된다.



총예산 규모 5조 1687억원

중앙행정기관이 수립한 2020년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에 따르면, 국가정보화 총 예산규모는 5조1687억원이다. 지난해(4조6340억원)에 비해 11.5%(5347억원) 증가했다.

정부는 올해 국가정보화 사업의 지능화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지능정보기술에 대한 투자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노후화된 정보시스템을 차세대 시스템으로 본겨 교체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올해 지능정보기술 관련사업에 1조2891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전체 예산 대비 지능정보기술 투자 비중은 25% 수준으로 지난해 1조642억원 대비 약 2% 포인트 늘었다.
이번 사업은 앞서 정부가 마련한 '제6차 국가정보화기본계획'에 근거한 것이다.

정부는 해당 계획에 따라 AI·빅데이터·클라우드를 비롯한 첨단기술의 활용을 크게 늘려 지능형 정부를 구축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상태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기존 정보화사업 가운데 기능·분야별로 유사한 사업 등은 통합하고 노후화된 정보시스템의 경우 최신 기술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아울러 데이터 기반 지능화 서비스 발굴 및 실증에 초점을 맞춰 의료·복지·전력 등 국민체감 분야에서 공공서비스를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 함께 기존 제품 생산 중심에서 탈피해 고부가 가치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기반 융합신산업 발굴 및 육성에도 힘을 쏟기로 했다.
이 계획대로라면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정보화사업이 전체 공공분야 정보시스템 관련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까지 35% 이상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전 세계적인 흐름인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중앙부처와 지자체 정보화담당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정부도 국가정보화 예산 중 지능정보기술 투자 비중을 2022년까지 35%로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클라우드 6008억 및 빅데이터 3670억 투입

행정안전부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에는 올해 1209억원이 투입된다.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사업을 살펴보면 전북 김제시 마트팜 구축 운영에 409억원, 전북 축산 분야 ICT 융·복합사업에 150억원이 들어간다.



강원도의 5G 기반 요구조자 재난안전서비스 실증에 105억원, 서울 상수도 GIS DB 정확도 개선에 88억원이 투입된다.
또한 울산 첨단교통관리체계(C-ITS 실증)에 83억원, 제주 C-ITS 실증에 71억원, 대전 통합관제센터 구축·운영-초고속 자가통신망 구축에 47억원이 들어간다.

아울러 클라우드 분야는 313개 사업에 6008억원이 들어간다.
빅데이터 분야는 국세청의 차세대 국세행정시스템(NTIS·엔티스) 등 132개 사업에 3670억원이 투입된다.



AI 분야의 경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 등 111개 사업에 3283억원이 투입된다.

사물인터넷(IoT) 분야에는 1987억원의 예산이 투입돼 해양수산부의 IoT 기반 항만물류 기술 개발 등 47개 사업이 진행된다.

또한 모바일 분야는 복지부의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 개편·관리 등 34개 사업에 483억원이, 블록체인 분야는 관세청 블록체인 기반 전자통관 등 11개 사업에 113억원이 투입된다.



가상현실(VR)·증강현실(AR)·혼합현실(MR) 분야는 산업부의 제조 AR 서비스 보급 등 155개 사업에 166억원이 투자된다.
5G 분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능정보서비스 확산 등 8개 사업에 1111억원이 들어갈 예정이다.



아울러 올해에는 행정서비스 관련 정보시스템을 차세대 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한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시행 계획에 포함된 사업 규모는 2659억원이다. 지난해 836억원에 비해 1823억원이나 크게 늘어났다.

이는 각각 복지부 사회보장정보시스템 구축에 1097억원, 행정안전부 지방세정보시스템 구축에 225억원, 대법원 전자소송시스템 구축비 105억원, 법무부 교정정보시스템 92억원 등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