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영역에서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한다.
5G B2B 사업화 초점...비즈니스 모델 확대
LG유플러스가 2020년 모든 사업영역에서 디지털 혁신을 추진하여 고객 경험 혁신을 이루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하현회 대표이사 부회장은 "디지털 전환은 고객이 지금보다 쉽고 편안하며 즐겁게 경험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혁신하여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것"이라며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인터페이스·사용자 경험에 대한 역량을 높여 이를 고객점점에 적용해 성과를 내야한다"고 설명했다.
하 부회장은 디지털 전환 추진을 비롯하여 올해 추진해야 할 중점과제로
전 사업영역의 고객 경험 혁신
견실한 수익구조 확보
철저한 미래사업 준비
완벽한 품질·안전·보안 관리
역동적인 조직문화 조성
등 5가지를 발표했다.
특히 하 부회장은 디지털 전환 추진 관련 진행성과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추진위원회'를 공유하고, 직접 디지털 전환 진척도를 챙기겠다고 밝혔다.
'DX 추진위원회'는 디지털 전환을 담당하기 위해 올해 신설된 위원회로, CEO와 각 부문장이 참여한다.
또 그는 "B2C에서 시작된 5G가 B2B로 본격 확대될 것"이라며 구체화된 사업모델을 점진적으로 확대, 5G, B2B의 성공적 사업화를 준문했다.
LG유플러스는 5G 이동통신 시대 방송과 통신의 융·복합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CJ헬로를 인수하고 'LG헬로비전'을 출범시켰다.
하 부회장은 올해 새롭게 출범한 LG헬로비전에 대해서는 "LG헬로비전은 독립기업으로서 자율성과 투명성을 가지고 업계 1위의 지위를 유지할 것"이라며 "양대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융·복합 서비스를 쉽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자"고 강조했다.
하 부회장은 기술 경쟁력 강화의 중요성에도 방점을 찍었다.
그는 최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0'에 참석해 "AI 기반 가전기기, 모빌리티 등이 고객 일상을 크게 바꾸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나아가 고객 감성까지 케어할 수 있는 기술 확보가 곧 경쟁력으로 직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하 부회장은 'CES 2020'에서 5G와 AI, 증강현실, 자율이동에 주목했다. 그는 구글 스마트홈 서비스를 체험한 후 구글과 협업을 통한 시너지를 기대했으며, 두산인프라코어와 5G 기반 모빌리티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LG유플러스는 양질의 콘텐츠 확보와 융합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증강현실·가상현실(AR·VR), 공연 생중계, 게임, 스포츠 분야에서 5G 특화 콘텐츠를 확대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향후 5년간 콘텐츠에 2조6000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IT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도 정보통신 분야 국가기술자격 검정계획 정기검정 및 수시검정 시행 일정 (0) | 2020.02.16 |
---|---|
2020년 국가기술자격검정 시행 계획 (0) | 2020.02.14 |
스쿨존 CCTV 설치 자격 및 고품질 카메라 도입 등 관련 규정 정립 (0) | 2020.02.11 |
인공지능·빅데이터 적용을 통한 국가 핵심시스템 고도화 (0) | 2020.02.10 |
2020년 SKT, AI로 혁신하고 ICT복합기업으로의 변신 (0) | 2020.02.07 |
2020년 KT, 5G 기반 인공지능(AI) 전문기업으로 혁신 주도 (0) | 2020.02.06 |
윈드리버와 T-System, 5G 클라우드 네트워크 관리 플랫폼 (0) | 2020.02.05 |
사물인터넷에서 비디오의 중추적 역할 (0) | 2020.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