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과 사물인터넷 IoT 산업 동향
사물 인터넷 기술은 사물에 센서를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이다.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들은 사람의 도움 없이 상호 간에 스스로 알아서 정보를 주고받으며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이 인간을 중심으로 바라본다는 점에서는 유비쿼터스(Ubiquitous)와 비슷하다. 유비쿼터스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사물 인터넷이 정의하는 개념보다 좀 더 먼 미래를 보는 것으로서 사물 인터넷 너머에 있는 만물 인터넷(IoE, Internet of Everything) 시대와 유사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 기술 트렌드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사물 인터넷 기술의 트렌드는 초연결, 지능화, 분산화, 개방화라고 볼 수 있다. 즉 단일 기업, 단일 응용 서비스 내의 연결 뿐만 아니라 기업과 기업, 응용 서비스 도메인 간 사물이 초연결되고 사물이나 응용 서비스가 관리와 판단 외에도 자율적인 학습을 통해 점점 지능화 되며 클라우드에 의한 집중 처리 뿐만 아니라 점점 엣지(edge) 네트워크와 디바이스로 응용 기능이 실시간 분산 처리된다.
하드웨어와 다양한 응용 플랫폼이 오픈 소스화 되어 개인화 및 산업용 서비스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사물 인터넷 기술은 크게 센싱 기술, 네트워킹 기술, 인터페이스 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센싱 기술은 온도, 습도, 열, 가스, 조도, 초음파 등 다양한 센서를 이용해 원격 감지, 위치 및 모션 추적 등을 통해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이다.
최근에는 MEMS(미세 기계 전자 시스템), 반도체 SoC(System on Chip, 시스템온칩),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으로 과거보다 지능화 된 스마트 센서가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네트워킹 기술은 인간과 사물, 서비스 등 분산된 환경 요소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킹 기능으로서 현재 4G LTE, WiFi,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5G에 따라 크게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터페이스 기술은 사물 인터넷의 주요 구성 요소를 통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서비스와 연동하는 역할로 정보의 검출, 가공, 정형화, 추출, 처리 및 저장 기능을 의미하는 검출 정보 기반 기술과 위치 정보 기반 기술, 보안 기술, 데이터 마이닝(mining) 기술, 웹 서비스 기술 등으로 구성된다.
사물 인터넷 기술의 강점은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에 의해 홈 네트워크의 제도가 잘 정비돼 있고 최고 수준의 사물 인터넷 전용 인프라와 사업자 경험도 축적돼 있으며 IT에 익숙한 소비자가 많기 때문에 사물 인터넷에 대한 필요 욕구가 상당히 크다.
기회 요소로는 또한 아파트 등 공동 주택 위주의 주거 방식은 사물 인터넷 설비를 단기간에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으며 스마트 시티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 지원으로 이와 연계하여 사물 인터네 서비스를 확산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고 있다. 이에 반해 약점도 있다. 강력한 애플리케이션이 부족하고 사물 인터넷을 지원할 수 있는 클라우드와 빅데이터 능력이 떨어지는 것이 장애가 되고 있다.
또한 위협 요인으로는 사물인터넷과 관련되는 부서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기 때문에 제도의 조정이 늦어지고 종합적으로 접근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의 매출을 살펴보면 초기에는 디바이스의 비중이 높았으나 2022년에는 시장 매출의 60%가 플랫폼 및 서비스 부문에서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기적으로 센서와 디바이스 등 하드웨어가 사물 인터넷 서비스 활성화에 중요하지만 이를 통한 서비스로부터 더 큰 수익이 창출될 것으로 보고 있다. 2015년에서 202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서비스가 90%, 플랫폼이 66%로 다른 분야에 비해 월등히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사물 인터넷은 아직 시장이 형성되지 않아 절대적인 강자가 없고 다양한 산업과 가치 사슬을 연결하는 통로이므로 여러 분야의 사업자가 경합하고 있다. 플랫폼 사업자인 구글은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TV, 자동차, 시계 등 주요 기기에 탑재 시키고 네스트 등을 거점으로 이들을 연결한다는 구상을 추진하고 있다.
통신사로서는 AT&T가 가장 적극적인데 Cisco, GE, IBM, 인텔 등과 제휴하여 이들 기업의 기기를 모두 연결하는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 공급자를 목표로 삼고 있다. 제조자 중에는 칩에 특화된 퀄컴(Qualcomm)이 주목할 만 한다. 퀄컴은 오픈소스 사물 인터넷 플랫폼인 올조인(AllJoyn)을 개발하여 스마트 홈 분야의 선점에 나서고 있다.
'IT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5G 투자 필요성 확대 및 5G 융합 서비스 (0) | 2019.09.08 |
---|---|
가상현실을 활용한 디지털 트윈 영역 확장 (0) | 2019.09.06 |
5G 시대 밀리미터파 기술 경쟁 및 개발 동향 (0) | 2019.09.05 |
5G 무선망 설계와 정밀 지리 정보 (0) | 2019.09.04 |
ICT 융합 기반 신규 공종 발굴과 신기술 개발 스마트시티 및 국방 등에 접목 (0) | 2019.08.25 |
5G 기반 10대 핵심 산업 총정리 (0) | 2019.08.19 |
5G 기반 10대 산업과 5대 서비스 (2) (0) | 2019.08.18 |
5G 기반 10대 산업과 5대 서비스 (1) (0) | 2019.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