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경보 설비와 전관 방송 설비의 개요 및 사용 현황

반응형
728x90
반응형



비상 방송 설비의 대상은 5층 이상, 3천 제곱 평방 미터 초과 시 직상층 경보 장치를 도입하여야 한다. 화재 경보 설비의 경우 1천 제곱 평방 미터 이상과 50명 이상 작업을 하는 옥내 사업장의 경우 비상벨 설비와 자동식 사이렌 설비를 구축하여야 한다.


또한 1천 제곱 평방 미터 미만 공간에는 단독 경보형 감지기를 설치한다. 전관 방송 구축 방법에서 전송 방식 실선 배선의 특징을 보면 회선 구성 및 신뢰성이 우수하지만 배선 비용이 증가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전송 방식 실선 배선은 주로 업무용 건축물에 많이 적용된다.


공동 주택에 주로 적용하고 있는 전송 방식 RX-TX는 오디오, 제어 4C로 전송되며 간선 이상 시 모두 통신이 단절된다. 네트워크 전송 방식은 앰프를 원격 지역에 설치하여 다원화를 할 수 있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관련 네트워크 장비들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전송 방식은 주로 공항이나 대학교, 국군 부대 등에 사용되어 진다.



소방청에서 2019년 1월 3일 각 지자체에 전국 69,398개 현장에 대한 비상 방송 설비 성능 개선을 위한 종합 대책 추진 계획을 발송하고 진행하고 있다. 비상 방송 설비의 화재 안전 기준 NFSC 202 제5조 제1호의 화재로 인하여 하나의 층의 확성기 또는 배선이 단락이나 단선되어도 다른 층의 화재 통보에 지장이 없도록 할 것의 내용으로 현재 설치되어 있는 1개의 앰프의 여러 공간에 회선을 사용하는 배선 방식 시 다음과 같은 문제 발생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발생 가능성이 있는 문제들을 살펴보면 화재로 인한 스피커 및 선로 단락 발생, 앰프 정지 발생 또는 프로텍트 기능, 앰프 보호 기능으로 방송 중지 상황, 모든 층 또는 화재 발생 층 이외에 비상 방송이 송출 중지 현상 발생 등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화재 시 문제 선로 외에는 정상적인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소방청은 다음과 같은 6가지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1) 각 층 배선상에 배선용 차단기, 퓨즈를 설치한다.

2) 각 층마다 증폭기, 앰프 또는 다채널 앰프를 적용한다.

3) 단락 신호 검출 장치를 설치한다.

4) 폴리 스위치를 이용한 시스템을 설치한다.

5) RX 방식의 리시버를 설치한다.

6) 이상 부하 컨트롤로 3종을 설치한다.


지난 2018년 말에 실시된 정부 국정 감사 시 비상 방송 문제가 이슈가 되었고 2개월 간 긴급 회의를 통하여 위와 같이  6개의 개선안을 도출한 것이다. 소방청은 2019년 12월 31일까지 신축 건물은 물론이고 기존 건물까지 모두 변경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현재 운영 중인 건물의 소방 정밀 점검 문제가 있다. 점검 시 스피커를 강제로 10초 정도 단락 시켜 점검을 진행한다. 전송 방식 실선 방식에서는 앰프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 다음으로는 소방청에서 특정 회사의 특허 제품을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특정 회사에 문제가 발생되어 제품 공급이 안된다면 향후 유지 보수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준만 만족하면 된다는 인식을 가지고 낮은 가격의 휴즈나 릴레이 제품 등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비상 방송 설비는 매우 중요한 설비인 것은 분명하다.


전관 방송 설비와 비상 방송 설비를 안정적으로 설계하고 감리 및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 분야와 소방 분야의 협업이 중요한 시점이다. 정보통신과 소방 분야가 상호 협력하여 기술 세미나, 정보 교류, 국가 정책 방향 제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을 통해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지킴이가 되어야 한다.


전관 방송 설비는 기본적으로 생음으로 들리지 않는 무대나 공간에 특정한 목적에 맞도록 생음을 전기적으로 확성하여 들려주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화재 경보 설비는 화재 발생 상황을 경보기나 경종 등을 이용하여 화재 상황을 알려주는 설비를 의미한다.



화재 경보 설비에는 비상벨 설비, 자동식 사이렌 설비, 단독 경보형 감지 설비, 비상 방송 설비가 있다. 전관 방송 설비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실내 및 외부의 회선 별 음악 방송 및 주차 관리, 기타 정보 전달을 위한 안내 방송을 할 수 있다.


학교 내의 학교 별 듣기 평가, 각종 행사를 위한 다원화 방송 리모트 마이크를 이용한 원격 방송을 할 수 있다. 다원화 방송이란 동시에 다른 음원을 다른 지역으로 송출하는 방송을 뜻한다. 각종 배경 음악 방송 및 안내 데스크 방송, 호텔이나 공동 주택의 층별 개별 방송을 할 수 있다.


건물의 내부나 외부 화재 및 비상 피난 유도 방송, 직상 발화 방송 등을 할 수 있다. 비상 방송 설비는 확성기, 스피커, 음량 조절기, 증폭기로 구성되어 화재 신호 발생 시 음원이나 소스가 확성기를 통해 송출되는 설비를 의미한다.


확성기는 각 층마다 설치하되 그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 거리가 25m 이하가 되도록 하고 해당 층의 각 부분에 유효하게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기동 장치에 따른 화재 신호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화재 발생 상황 및 피난에 유효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은 10초 이하로 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