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남북 ICT 자동화 지능화 기술 2019 년 ICT 10대 이슈

반응형
728x90
반응형

정보통신기획평가원에서 선정·발표한 2019 년 ICT 관련 10대 이슈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10대 이슈를 전체적으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지난 번에는 5G 와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 , 엣지컴퓨팅 AI 지능형 반도체 , 차세대 모빌리티 등을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남북 ICT 교류협력 , 블록체인 비금융 분야 확산 , 자동화 지능화 기술 도입 증가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글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IT 정보통신] - 2019 년 ICT 10대 이슈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

[IT 정보통신] - 엣지컴퓨팅 에지컴퓨팅 지능형 AI 반도체 자율주행차 2019 ICT 10대 이슈



■ 남북 ICT 교류협력

ICT 산업에서 남북의 경쟁과 협력 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단기적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협력의 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 분야에서는 개성공단 같은 지역에서 우리나라는 기술과 자본을 제공하고 북한은 토지와 노동력을 제공하는 형태가 유력시됩니다. 북한의 저임금 노동자들이 TV나 휴대폰, 가전제품 등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통신 서비스 분야에서는 우리나라 통신사업자가 북한의 정부와 합작회사를 설립하고 사업권을 부여받아 북한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들어 국내의 통신사업자들은 본격적인 경협 확대에 대비하여 사업전략을 수립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SK텔레콤은 대외협력센터 산하에 남북협력기획팀을 신설하여 전사적 차원에서 대북 협력사업을 모색하고 교류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KT는 위성 사업부와 개성공단에 구축된 유선 인프라를 활용하는 방안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 중이라 하네요.

부디 남북 ICT 교류협력을 통해 양측이 좋은 시너지를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블록체인 비금융 분야 확산

인터넷은 정말 커다란 혁명이었죠. 블록체인 역시 제2의 인터넷 혁명이라 불릴 만큼 우리 사회를 변화시킬 잠재력이 막대하여 전세계적으로 기술 시장 선점을 위해 경쟁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2019년 올해는 블록체인 서비스가 확산되기 시작하는 원년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요, 사람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들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우리정부는 올해 2019년 선도 사업 예산 규모를 약 150억으로 확대하고 시범사업의 수도 12개로 확대하였습니다. 또한 국민들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민간주도 프로젝트 3~4개 정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 블록체인 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고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대기업 역시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블록체인 관련 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미 국내에서는 IT 대기업들이 블록체인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게임업계에서는 블록체인을 게임 아이템이 콘텐츠에 접목시키는 플랫폼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인터넷 업계는 올해 자체적으로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경쟁이 뜨거울 것으로 예상되며, 통신 서비스업계에서도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을 추진하여 사업화 가능성을 모색 중이라고 합니다.






■ 자동화 지능화 기술 도입 증가

작년부터 시작되어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근로시간 단축 시행, 그리고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업무적인 형태의 변화도 예상되고 있습니다. 단순 반복적인 업무에 자동화 , 지능화 기술을 도입하여 보다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점차 이러한 프로세스들이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여러 산업 분야로도 자동화 지능화 기술이 보급되어 계속해서 증가할 전망입니다.

따라서 올해는 단순 반복적인 사무직 업무에 자동화 지능화 기술인 RPA (Robotic Processing Automation) 이 도입되는 원년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작년까지는 주로 은행이나 보험과 같은 금융 업계에서 활발히 도입하였으며, 올해부터는 비금융 업계에서도 RPA 도입을 매우 긍정적으로 검토하리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비용 절감 및 고객 편의 제공을 위해 식료품 판매점이나 숙박업소, 요식업소 등 접객 서비스 관련 분야에도 무인점포와 무인 자동결제 시스템 보급이 조만간 빠르게 확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호텔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체크인, 체크아웃이 아닌 휴대전화나 생체인증과 같은 방식으로 호텔에 투숙하고, 숙박료와 룸서비스 이용금액을 결제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