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알림 서비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스마트 홈서비스와 관련하여 앞에서 잠깐 언급한 서비스 중 하나인데 좀 더 자세히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이 서비스는 입주자의 차량이 아파트 입구의 차량 게이트(차단기가 설치된 곳)에서 인식이 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미리 설정된 선호 구역 중 주차가 가능한 빈자리를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일종의 주차 유도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호하는 구역의  주차 가능 빈자리를 알려줄 수 있다면 주차장을 배회하지 않게 되어 거주 만족도와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우선 이 서비스가 가능하려면 입주민이 선호하는 주차 구역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야 한다. 또 차량 게이트를 통과한 후 빠른 시간 내에 알림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 차량 게이트에 접근하기 전에 알림을 받고 싶은 요구 사항도 있을 수 있다.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나리오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차량 게이트에서 차량의 번호를 인식했을 때 알림을 주는 시나리오가 있다. 이 시나리오의 단점은 차단기가 열리고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확인하기 전에 시간적인 여유가 부족할 수 있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자신의 아파트의 위치 정보를 설정하여 아파트에 접근했을 때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시나리오의 단점으로는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계속 실행시켜놓아야 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배터리가 빨리 소모될 수 있다는 점이다. 차량 게이트에 접근하기 전에 알림 서비스를 받는 차량의 위치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 설치할 때 또는 정보 수정 화면에서 차량의 번호 및 스마트폰 번호 정보를 포함하여 등록을 해놓아야 한다.

 

 

입주민이 주차 선호 구역을 미리 설정하여 알림을 받는 방식은 정보 제공 방식이 텍스트 정보이므로 입주민에게 주차장 구역에 대한 초기 안내가 필요하다. 연동 개발 이슈가 상대적으로 복잡하며 아파트의 주차장 이미지 및 주차 구역 정보에 대한 초기 설정을 해야 한다. 사용자가 주차 선호 구역을 텍스트로 입력하여 알림 서비스를 받는 방식은 연동 개발 이슈나 초기 작업 등은 간편하지만 선구 구역에 대한 설정 및 안내 정보가 모두 텍스트 정보이기 때문에 입주민이 서비스 이용에 익숙하게 될 때까지 어느 정도의 학습 과정과 기간이 필요하다. 또 입주민이 주차 선호 구역을 입력할 때 주차장의 기둥 번호를 기억하여 입력해야 한다.

 

시스템 간 통신하는 Flow는 다음과 같다. 차량 게이트에 도착하면 카메라가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고 차량 정보를 주차 관제 서버로 전달한다. 등록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주차 선호 구역을 검색한다. 검색 결과를 스마트 홈 서버로 전달하고 스마트 홈 서버는 전달받은 정보를 통신회사의 서버로 다시 전달한다. 통신회사의 서버는 전달받은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화면에 정보를 띄워준다. 다시 요약해서 이야기하면, 입주민이 선호하는 주차 구역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주거 정보를 등록하고 1차 선호 구역을 지정한다. 원활한 시스템의 흐름을 위해 통신회사와 협조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야 될 필요가 있다. 가장 좋은 것은 애플리케이션 개발 영역은 통신회사에서 담당을 하고 스마트 홈 회사는 아파트에 대한 정보나 주차 구역 정보 등을 데이터화해서 통신회사에 제공하는 것이다.

 

주차 관제 서버와 스마트 홈 서버의 연동 역시 스마트 홈 회사가 진행한다. 스마트 홈 서버와 통신회사의 서버 간 연동은 상호 협조하여 진행한다. 앞에선 언급했듯이 차량 게이트를 통과한 후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알림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효과적이며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문자(SMS) 전송 방식보다는 푸쉬 알람(Push Alarm)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이다. 푸쉬알 람 방식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서 받은 메시지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문자의 경우 표시 영역이 작아서 문자를 확인하는 중에 사고의 위험도 있을 수 있다.

 

 

 

 

< 주차 공간 알림 서비스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예시 이미지) >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