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와이파이7는 국제표준화단체인 IEEE가 연구 중인 IEEE 802.11be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와이파이 규격으로서 초대 40Gbps의 속도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최신 와이파이 규격인 와이파이6E와 비교하여 약 2배 빠른 속도와 더불어 더 높은 연결 안정성 및 더 넓은 커버리지를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와이파이7은 와이파이6와 동일한 2.4GHz, 5GHz 및 6GHz의 주파수를 사용하지만 더 넓은 채널폭을 사용하면서 와이파이6E 보다 2배 더 빠른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채널폭이 160GHz인 와이파이6E는 1.2Gbps의 전송속도를 내지만, 채널폭이 320GHz인 와이파이7은 2.4Gbps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2.4Gbps는 한 스트림당 속도를 의미하는데, 와이파이7은 최대 16개의 스트림을 지원한다. 16개의 스트림을 모두 이용한다면 이론적으로 약 40Gbps의 속도를 낼 수 있는 것이다.

와이파이7에 추가된 기능인 '멀티-링크(MLO : Multi-Link Operation)'도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기술은 5GHz와 6GHz 주파수를 함께 사용해 하나의 연결처럼 동작하도록 하는 기술로, 현재 와이파이의 대표적인 불편으로 지목되는 끊김 현상이 대폭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이전에는 한 번에 하나의 주파수만 사용할 수 있었는데, 와이파이 AP가 MLO 기술을 지원알 경우 여러 개의 주파수를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이용 중인 기기가 다른 주파수에 연결되더라도 와이파이 연결이 유지된다.
특히 이 연결은 특정 채널이나 채널폭에 고정되지 않기 떄문에 상황에 따른 접속으로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와이파이7은 변조속도도 4096QAM(4K-QAM)으로 크게 증가됐다. QAM은 주파수 1Hz당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다수의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해도 속도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다. 와이파이5는 256QAM, 와이파이6sms 1024QAM을 지원해왔다.
'프리앰블 펑쳐링(PP : Preamble Puncturing)' 기능도 눈여겨볼 만하다. 연속 채널의 일부(20MHz 혹은 40MHz)를 차지하는 기존의 사용자들로 인해 AP는 보통 이 스펙트럼을 사용하지 못했지만 PP기술은 이러한 간섭 채널을 제외하고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IT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 제설시스템 및 IoT 제설감지기 개요 (0) | 2022.12.13 |
---|---|
지진 경보장치 고도화 동향 (0) | 2022.11.12 |
와이파이7 상용화 시점은? (0) | 2022.08.20 |
스마트시티 실현의 마중물 스마트 가로등 (0) | 2022.06.08 |
디지털 뉴딜 2.0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 분야 실행과제 (0) | 2022.03.19 |
RE100 뜻 의미는? (0) | 2022.02.04 |
디지털 뉴딜 2.0 추진 방향 (0) | 2021.12.29 |
디지털 뉴딜 2.0 추진 방향 (0) | 2021.11.30 |